난임클리닉난임상식난임의 치료
난임센터를 방문하시는 환자분들은 오랜 시간 동안 난임으로 고민하셨기 때문에
마음이 매우 조급하신 것이 보통입니다.
난임 치료는 정확한 진단하에서 개개인에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야 효과가 있으며, 선택된 치료법이 성과를 거두기까지는 수개월이 걸릴 수도 있기 때문에,
너무 서두르지 마시고 병원에서 권하는 대로 차례차례 과정을 밟아주시기 바랍니다.
갑상선자극호르몬(TSH)이나 유즙분비호르몬(Prolactin)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임신에 방해가 되므로 이를 교정하게 되면 임신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배란이 불순하거나 안되는 경우에는 배란유도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처음에는 클로미펜(Clomiphene)이라는 약제를 5일간 복용한 후 초음파촬영으로 배란이 잘 일어나는지 관찰하게 됩니다. 배란이 잘 되지 않을 경우에는 용량을 증가하게 되며, 그래도 안 될 경우에는 호르몬주사(HMG, FSH등)를 맞고 배란을 유도하여 임신을 시도합니다.
나팔관이 막히거나 유착이 심하면 난자와 정자가 만날 수 없으므로 임신을 할 수 없게 되며, 이 경우 병변 상태에 따라 다음의 3가지 치료법을 시술하고 있습니다.
복강경 수술
난관사진촬영에서 나팔관의 병변이 의심될 경우에 복강경검사를 하여 나팔관의 상태를 더 정밀하게 관찰하게 되는데, 나팔관이 주변과 유착이 되어 있거나 끝 부위만이 막힌 경우에는 레이저등을 이용하여 그 자리에서 병변을 치료하게 됩니다.
개복수술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으나, 병변이 심할 경우에는 실시할 수 없습니다.
나팔관 성형수술 및 복원수술
복강경검사 결과 병변이 경미하여 수술로써 임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수술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시험관아기 시술(IVF-ET)
병변이 너무 심하거나 고령 등 다른요인이 복합된 경우, 수술을 하여도 성공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될 경우에 시도하게 됩니다.
자궁내 유착
자궁경을 이용하여 유착을 제거하고, 유착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궁내에 장치를 넣은 후, 2~3개월 정도 호르몬 치료를 실시하기도 합니다.
자궁기형
자궁경수술을 실시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복강경 수술 혹은 개복을 하여 교정하기도 하는데, 자궁기형은 불임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 보다는 습관성 유산의 원인이 되는 수가 많습니다.
자궁내막증이란 자궁내막조직이 자궁내막 이외의 부위에 퍼져 있는 것으로서, 병변유무 및 정도는 복강경검사를 해야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많은 경우에서 복강경검사와 동시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으며, 호르몬 약제나 주사를 투여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수술요법과 약물요법을 병행하여 치료할 수도 있습니다. 병변이 심한 경우에는 시험관아기시술로 바로 들어가기도 합니다.
위에 소개한 내용은 진단소견에 따른 각각의 치료법으로서, 두 가지 이상에 해당될 경우에는 동시에 치료해야 효과가 높습니다.
남성의 기본 검사 진행 후 이상이 있을 경우 항여성호르몬제를 통한 남성호르몬저졸, 감염이나 염증조절,음낭 정계정맥류의 경우 미세현미경하 정계정맥류결찰 수술을 통해 정자의 질 향상을 도모합니다.
동시에 여성의 경우 약한 정도에 따라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인공수정을 시도하고 심한 경우에는 시험관아기 시술로 바로 들어갑니다. 인공수정이란 남편의 정자를 특수처리하여 자궁 내에 넣어주는 방법으로 수차례 실시해도 임신의 도지 않을 경우에는 시험관아기 시술을 받게 됩니다.
무정자증의 경우 크게 폐쇄성 및 비폐쇄성 무정자증으로 구분합니다. 폐쇄성 무정자증일 경우 정관이 막히거나 부고환이 막히는 등 정자가 지나가는 길이 막히는 경우로 정관복원수술, 부고환정관문합수술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비폐쇄성 무정자증일 경우 염색체 검사 등으로 선천성 이상을 감별하고, 단순고환조직검사부터 미세현미경하 고환내정자채취술같은 고난이도의 수술을 통하여 정자를 확보, 시험관아기 시술을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