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난임클리닉남성난임센터무정자증

난임은 부부가
함께 극복해야 합니다

무정자증이란?

통상적인 정액검사에서 정자가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2회 이상의 정액검사에서 원심분리를 한 정자가 없을 경우이며, 따라서 무정자증이라 함은 검사 상에서 정자가 없다는 뜻이지
환자분이 정자를 전혀 생산하지 못하여 임신이 아예 불가능한 상황을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크게 폐쇄성 무정자증(obstructive azoospermia)과
비폐쇄성 무정자증(non-obstructive azoospermia)으로 나누지만 동반되어 있는 경우도 흔합니다.

종류

  • 폐쇄성 무정자증
    (obstructive
    azoospermia)

    일반적으로 고환(testis)의 세정관(Seminiferous tubule)에서 만들어진 정자는 부고환(epididymis)을 통해 성숙되며 정관(vas deference)을 통해 이동, 사정관(ejaculatory duct)에서 전립선액과 정낭액과 합쳐져 배출됩니다.

    이때 정자가 배출되는 통로에 막혀 사정액에 정자가 안 나올 경우를 폐쇄성 무정자증이라고 합니다.
    과거 정관수술, 전립선수술,탈장수술 등의 경력, 고환, 부고환염, 비뇨기계결핵 등 감염,선천성양측정관무형성증(CFTR gene 변이), 당뇨, 역행성사정, 사정관 결석 등 과거 원인과 폐쇄된 부위에 따라 약물 및 수술적 치료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 비폐쇄성 무정자증
    (non-obstructive
    azoospermia)

    폐쇄성 무정자증과는 달리 고환 자체에서 정자생성이 안되는 경우로 폐쇄성 무정자증과 동반될 수 있습니다.
    난포자극호르몬(FSH)의 상승, 위축된 고환, 저하된 남성호르몬 등이 나타나며, 감염, 뇌하수체기능부전, 음낭정계정맥류, 정류고환, 잠복고환, Klinefelter 증후군 등 선천적인 상염색체이상 및 성염색체미세결실(Y chromosome microdeletion) 등등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고환조직검사를 통해 진단을 하며, 정자형성저하증(hypospermatogenesis), 성숙정지(maturation arrest), 지주세포증후군(Sertoli cell only syndrome)의 조직형태를 보이는데, 정자를 생성하는 조직상태를 말하며, 뒤로 갈수록 정자채취확률을 낮아집니다.
    고환조직내 정자채취술을 통해 정자를 확보하여 체외수정(IVF) 및 미세수정(ICSI)를 통해 임신을 시도합니다.
    본원에서는 최신 현미경을 이용한 미세현미경하 다중고환조직정자채취술(multiple microsurgical TESE)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Back to Top